연구개발
연구분야
- HOME
- 연구개발
- 연구분야
개요
Convergence Embedded


Electronic Design & Applications
- IT 기술의 다양한 산업 분야 적용
-
Personal / regional wireless 네트워크의 기반 기술과 산업 응용 기술연구 및 개발
- Mixed signal system, wireless sensor, RFID 기술 기반
- IT + 자동차 융합 기술
- IT + 조선 융합 기술
- Warehouse, 항만 관리 기술
Autonomous Robots
- 기계공학과 IT의 융합
-
스스로 생각하고 동작하는 로봇 기술 연구 및 개발
- 의료 및 재활에 필요한 assistive 로봇 기술 개발
- 산업 자동화에 필요한 산업용 로봇 기술
Ergonomics & Human Machine Interface
- 산업공학과 IT의 융합
-
인간 중심의 지능형 조작 환경 연구 및 개발
- 자동차 운전자 조작 환경 Ergonomic Design
- Augmented Reality를 이용한 자연스러운 Interface 연구
- Intelligent Agents를 이용한 지능형 Interface 연구
- Human 지각 감성 기초 연구
Computation & Art
- 디자인, 인문학, 사회과학과 IT의 융합
-
MIT Media Lab 벤치마킹하여 computation과 art의 결합으로 새로운 분야 및 기술 창출
- 디자인 tool로서의 IT 기술 연구
- 미래 사회의 way of life 와 enabling technology의 연구
- 이종 분야 연구의 computational analysis
Future Devices
- 광기술과 IT 기술의 융합
-
첨단 IT 기반 광기술로 통신, 의료, 석유화학 제품 분석 등에 활용
- 광통신 및 광스위치를 활용한 미래 초고속 통신
-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한 의료 영상, 석유 화학 제품 분석, 통신
차량 운전환경감지

차량 운전환경감지
- 차량의 외부에 부착된 각종 센서들의 자료를 종합하여, 안전운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
- 적외선 센서/카메라 등을 활용하여 차선 변경시 위험여부 판정 및 경고 기능
- 카메라/레이더를 활용한 전,후방 위험상황 경보
- 초음파 거리 센서/PSD를 활용한 주차 도우미 기능
- 휴대폰의 카메라와 접속하여 저가의 차량용 영상 블랙박스(Black box) 실현
- 센서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로 부착할 때, 이의 정보를 통합하여 안전운전을 도울 수 있는 일반형 센서 제어(universal senseo control) 콘솔설계
- Stand-alone 방식 센서 제어기 형태로 시장에 진입하거나, 완성차 업체나 1차 벤더와의 협력에 의한 설계 방식 모두 가능
차량용 스마트 센서

차량용 스마트 센서
- 전통적인 센서와 스마트 센서의 본질적인 차이점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해 기본적으로 디지털 프로세싱, 아날로그-디지털 변환, 입력신호의 코드변환, 연산과 인터페이스 기능 수행 이외에 자가 진단(self-dianostics), 자기 인식 및 식별(self-identification), 환경에 대한 자기 적응(self-adaptation)과 의사결정 기능 등을 수행
- 또한 언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저장할 것인지와 통제할 것인지 뿐만 아니라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작동시간 등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
- 이와 같이 스마트 센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수준 높은 신호처리회로가 센서에 지원되어야 함
- 따라서 지능형 안전 차량 시스템 구성에 있어 스마트 센서 기술은 핵심 요소가 되는 기술이라 할 수 있음
운전자 상태감지


운전자 상태감지 시스템
- 운전자의 졸음, 주의태만, 음주 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경보, 혹은 주의환기의 동작이 가능한 장치
- 영업용 자동차 및 트럭 등에서는 졸음이나 피로에 의한 사고 위험이 높음
- 운전자의 음주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시동이 불가능하게 하는 장치는 이미 해외의 완성차 업체를 중심으로 시장에 진입
- 운전자의 졸음이나 주의태만 등에 대한 감시 및 경보에 관한 기술이 국내외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실현 가격이 가장 큰 문제
- 휴대폰의 카메라, PMP, 혹은 DMB 디스플레이어 장치 등을 활용한 운전자 상태 감지용 임베디드 시스템을 저가형으로 설계가 가능
- 전통적인 센서는 외부로부터의 신호나 자극을 수집하고 감지하는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였으나 최근의 스마트센서는 외부로부터 신호 또는 자극을 받아들이고(센싱)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(트랜스듀싱) 요구되는 처리를 수행하는(프로세싱) 기능을 모두 포괄함
차량상태감지

차량상태감지
- 1998년 이후 출고된 국내 차량의 경우 미국 자동차기술협회(SAE)가 자동차 진단을 위해 고안한 표준 규격인 OBD-Ⅱ방식을 채용
- OBD-Ⅱ는 연료장치, 산소센서 등 800여가지의 고장진단 기능 제공
- 차량의 전장화/지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경험에 의한 고장진단에는 한계
- 차량의 운행상태를 실시간 감지하여, 차량 이상발생 징후가 있을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/정비시 이상차량의 고장원인 분석
- OBD-Ⅱ코드를 실시간으로 읽고, 이를 해석하여, 디스플레이 및 실시간 경고 가능한 임베디드 시스템